전체메뉴보기
홈페이지의 모든 메뉴를 살펴 보실 수 있는 사이트 맵 입니다.
논문투고
논문 투고 방법 및 편집규정
투고일정에대해 알려드립니다.
논문검색
학지사 학회지에 수록된
우수한 논문을 검색해 보세요!

논문투고 및 작성세칙

『교육정치학연구』 논문투고 및 작성 세칙

1994. 6. 제정
2004. 6.  제1차 개정
2007. 4. 28.  제2차 개정
2017. 8. 24. 제3차 개정
2018. 3. 31. 제4차 개정

 

1. 논문의 투고 <2017.8.24.신설>

1) 본 학회지는 교육정치학의 이론과 교육정책에 관련이 있는 학술논문을 게재한다.

2) 본 학회지는 연 4회(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1일) 발간하며, 논문은 연중 상시 모집한다. <시행일 : 2018.1.1.>

3) 호별 논문 투고 마감 일자는 다음과 같고, 변경할 경우에는 홈페이지에 공지한다.1호: 1월 31일, 2호: 4월 30일, 3호: 7월 31일, 4호: 10월 31일. <시행일 : 2018.1.1.>

4) 본 학술지에 게재가 확정된 논문이 편집위원회가 정한 소정의 편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음 호에 게재될 수 있다.

5) 투고 논문은 반드시 지정된 양식(별도의 “교육정치학연구 논문 및 작성 양식” 파일 참조)을 사용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6) 논문 투고자는 「연구윤리규정 준수 서약서」(첨부된 별도 양식),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확인서(인간 대상 연구에 한함), 유사도검증결과를 투고논문과 함께 논문투고시스템으로 『교육정치학연구』 편집위원회에 제출한다.

 

2. 원고작성

1) 논문은 한글2002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E-mail로 제출한다. MS-word로 작성된 논문은 반드시 한글2002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변환 뒤 제출해야 한다.

2) 논문은 다음과 같은 양식에 맞추어 작성하되 논문분량은 A4 20쪽 이내(영문 또는 국문초록포함)로 한다.

  글자모양 문단모양
편집용지설정 위쪽․아래쪽 여백 각각 40, 왼쪽․오른쪽 여백 각각 34, 머리말10, 꼬리말 10, 제본 10
국문요약
(10줄 내외)
휴먼명조 9 보통, 장평 100, 자간 0 여백 왼쪽․오른쪽 각각 5, 들여쓰기 8,
줄간격 150, 양쪽 혼합
본문 휴먼명조 10.5, 보통, 장평 87. 자간 0 들여쓰기 8, 줄간격 170, 양쪽혼합
각주 신명조 9, 보통. 장평 95. 자간 -5 줄간격 130, 양쪽 혼합
참고문헌 휴먼명조 10.5, 보통, 장평 87, 자간 0 여백 왼쪽 6, 오른쪽 0, 내어쓰기 30,
줄간격 160, 양쪽혼합
Abstract(영문) 휴먼명조 10.5, 보통, 장평 100, 자간 0 들여쓰기 8, 줄간격 170, 양쪽혼합
기타 영문원고의 경우, 편집사항은 모두 위와 동일하다.
단, 영문요약과 한글초록을 작성한다.

※ A4 (210×297) 용지 기준

3)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로 표기하거나 ( )속에 원어를 표기하며,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표기한다.

4) 논문은 교정이 완전히 끝나서 그대로 출판할 수 있는 완전한 상태로 제출한다. 이를 그대로 출판했을 때 발견되는 맞춤법, 띄어쓰기, 구두점 등의 오류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필자에 있다.

 

3. 제목의 번호 부여

국문 논문제목 (진하게, 굴림 15, 장평 80, 줄간격 170, 가운데 정렬)

영문 논문제목 (진하게, 굴림 15, 장평 80, 줄간격 170, 가운데 정렬)

1단계 :Ⅰ,Ⅱ,Ⅲ (진하게, 굴림 13, 장평 80, 줄간격 170, 가운데 정렬)

2단계 : 1, 2, 3 (진하게, 굴림 11, 장평 90, 줄간격 170, 양쪽혼합정렬)

3단계 : 가, 나, 다 (진하게, 굴림 11, 장평 90, 줄간격 170, 들여쓰기 2, 양쪽혼합정렬)

4단계 : 1), 2), 3) (진하게, 굴림 11, 장평 80, 줄간격 170, 들여쓰기 4, 양쪽혼합정렬)

5단계 : 가), 나), 다) (굴림 11, 장평 80, 줄간격 170, 들여쓰기 6, 양쪽혼합정렬)

6단계 : (1), (2), (3) (굴림 11, 장평 80, 줄간격 170, 들여쓰기 6, 양쪽혼합정렬)

7단계 : (가), (나), (다) (굴림 11, 장평 80, 줄간격 170, 들여쓰기 6, 양쪽혼합정렬)

8단계 : ①, ②, ③ (굴림 11, 장평 80, 줄간격 170, 들여쓰기 6, 양쪽혼합정렬)

9단계 : ㉮, ㉯, ㉰ (굴림 11, 장평 80, 줄간격 170, 들여쓰기 6, 양쪽혼합정렬)

 

4. 각주

1) 각주는 APA양식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2) 각주는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관하여 사용하고, 단순히 자료의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각주의 사용은 금한다.

 

5. 표와 그림

1)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 그림에는 “[  ]”와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 표나 그림의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 1부터 시작한다.

2) 표의 제목은 상단 좌측에, 그림은 하단 중앙에 제시한다.

3) 표와 그림은 원본을 그대로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필자가 책임지고 완벽하게 작성․제출한다(표와 그림의 양식은 「교육정치학연구」 최근호를 참조할 것).

 

6. 국문초록과 영문초록

1) 우리말 논문의 경우 영문초록을 첨부하여 제출해야 한다. 영문제목과 필자의 영문 성명, 소속기관 및 직위의 영문명을 반드시 명기해야 한다. 영문초록의 분량은 제목과 저자, 주제어를 포함하여 A4용지 1매 이내로 한다.

2) 외국어 논문의 경우 국문초록을 첨부하여 제출해야 한다. 국문제목과 필자의 국문 성명, 소속기관 및 직위의 국문명을 반드시 명기해야 한다. 국문초록의 분량은 제목과 저자, 주제어를 포함하여 A4용지 1매 이내로 한다.

 

7. 주제어

원고 서두의 “한글요약 말미”와 마지막 페이지의 “영문초록 말미”에 5개 이하의 주제어를 제시한다.

요약(한글) [주제어]        ,        ,        ,        ,       
초록(영문) [Keyword]        ,       ,       ,       ,        

 

8. 인용

1) 논문 작성 시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위를 본문에서 한줄씩 비우고 왼쪽, 오른쪽으로 각각 20pt씩 여백을 주며 줄 간격은 150으로 한다.

2)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 이 문제에 관하여 홍길동(2000)은…
홍길동(2000: 25-26)은… (2000년도 문헌의 25-26쪽을 의미함)

3)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부분 말미에 괄호를,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으로 가른다.

예: 한 연구(홍길동, 1997; Anderson, 1998)에 의하면…

4) 저자가 다수일 경우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 4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국문의 경우 ‘000 외’, 영문의 경우는 ‘et al.’로 나타낸다.

예: 홍길동 외(1992)
Wittrock et al.(1986)

 

9. 참고문헌 작성

논문의 말미에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한, 중, 일, 서양서순으로 열거한다.
여기에 예시한 이외의 서양 참고문헌 작성법은 대체로 APA양식을 따른다.

1) 단행본의 경우

유기섭(1995). 교육심리학. 서울: 동문사.

2)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의 경우

이희수, 조순옥(2004). 만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허와 실에 대한 쟁점과 대안. 한국교육문제연구소논문집, 20.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87-213.(*반드시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

3) 학위논문의 경우

김승훈(2002). 한국의 교과서 정책 과정의 타당성 분석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4)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인 경우

최상진(1999). 문화심리학: 그 당위성, 이론적 배경, 과제 및 전망. 한국심리학회 하계 심포지움 문화와 심리학. 1-20. 8월 20일. 서울: 연세대학교 제 2인문관.

5) 신문기사의 경우

동아일보(2001.9.23). 사이버 대학 1학기 수강생 10명 중 8명 꼴 재등록. 19면.
이시형(2001.3.12). 대통령의 말실수. 조선일보, 6면.

6) 영문 참고문헌 작성 시 유의사항

① 책명,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한다.

② 논문(학위논문의 경우도 동일)제목은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쓴다.
단, 정기간행물(단행본, 보고서, 자료집 등의 경우도 동일)의 책명은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1994).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th ed.) Washington, DC.: Author.

Brookhart, S. M. & D. J. Freeman(1992). Characterisitc of teachers candidat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37-65.

Gold, N. C.(1981). Meta-evaluation of selected bilingual education proj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cMillan, J. H.(2001).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③ 번역서 혹은 편역서는 원자자명 뒤에 역자명을 적고 괄호안에 본문에서 인용한 번역서의 출판연도를 표기한다.
그리고 번역서는 진하게 하고 출판사를 표기한다.

Brademas, J. 이일용 역(1991). 敎育政治. 서울: 문음사.

7) 편저의 경우

교육법전편찬회편(2002). 2002년 개정판 교육법전. 서울: 교학사.

 

 

부 칙<2018. 3. 31.>

이 개정 세칙은 2018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